G80 가격이 얼마인지 궁금하셨나요? 2025 제네시스 G80 가격표에 따라 제네시스 G80 가격을 살펴본 후 모든 옵션을 추가한 제네시스 G80 풀옵션 가격에 이어 G80 연비 및 제원을 다른 준대형 세단과 비교하였으니 아래의 내용에서 자세히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1. 제네시스 G80 가격
G80 가격표 | 2WD | AWD |
---|---|---|
2.5 가솔린 터보 | 5,899만 원 | 6,179만 원 |
3.5 가솔린 터보 | 6,559만 원 | 6,839만 원 |
제네시스 G80은 제네시스의 준대형 세단 차량으로 제네시스 홈페이지에서 2025년 5월 1일에 G80 가격표가 공개되었습니다.
하지만 해당 가격표에서는 G80 트림이 기본 모델밖에 없으며 2WD나 3.5 가솔린 터보 등을 함께 다루지 않고 오직 2.5 가솔린 터보 엔진을 장착한 2WD 가격만을 소개하였는데요.
따라서 기본 모델에서 해당 옵션 비용을 더해야만 제대로 된 제네시스 G80 신형 가격을 알 수 있었습니다.
그렇다면 2025 제네시스 G80 신차 가격은 어느 가격대에 형성되어 있을까요?
2025 제네시스 G80 가격표에 따른 G80 가격은 5,899 ~ 6,839만 원입니다.
2.5 가솔린 터보 엔진을 장착한 G80은 2WD는 5,899만 원이며 AWD는 6,179만 원입니다.
3.5 가솔린 터보 엔진을 장착한 G80은 2WD는 6,559만 원이며 AWD는 6,839만 원입니다.
그렇다면 2.5 가솔린 터보 엔진에서 3.5 가솔린 터보 엔진으로 변경하는 데 660만 원이나 필요한데 그만한 가치가 있을까요?
우선 2.5 가솔린 터보 엔진의 최고 출력은 304마력이며 최대 토크는 43kgf.m입니다.
반면, 3.5 가솔린 터보 엔진의 최고 출력은 380마력이며 최대 토크는 54kgf.m인데요.
따라서 660만 원으로 최고 출력을 76마력이나 올릴 수 있으며 최대 토크는 11kgf.m이나 올릴 수 있는데요.
물론 기본 엔진의 성능도 이미 훌륭하기 때문에 더 좋은 엔진으로 변경할지는 개인의 취향에 따라 달라진다고 생각합니다.
지금까지 살펴본 G80의 가격은 모두 개별소비세 3.5%를 적용한 세제 혜택 후의 판매 가격이면서 동시에 엔진과 구동 타입만 선택하며 그 외 다른 옵션을 추가하지 않은 제네시스 G80 깡통 가격인데요.
그렇다면 다양한 G80 옵션들 중 추가할 수 있는 모든 옵션을 추가한 풀옵션 G80은 얼마나 하는지 아래의 내용에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 제네시스 G80 풀옵션 가격
G80 가격표 | 2WD | AWD |
---|---|---|
2.5 가솔린 터보 | 7,935만 원 | 8,215만 원 |
3.5 가솔린 터보 | 8,565만 원 | 8,845만 원 |
제네시스 G80 풀옵션 가격은 7,935 ~ 8,845만 원입니다.
2.5 가솔린 터보 엔진을 장착한 G80 풀옵션 가격은 2WD는 7,935만 원이며 AWD는 8,215만 원입니다.
3.5 가솔린 터보 엔진을 장착한 G80 풀옵션 가격은 2WD는 8,565만 원이며 AWD는 8,845만 원입니다.
물론 해당 가격은 개별소비세 3.5%를 적용하기 전의 판매 가격을 기준으로 계산된 가격입니다.
그렇다면 G80을 깡통에서 풀옵션으로 만들기 위해서 옵션을 얼마나 추가해야 할까요?
2.5 가솔린 터보 엔진은 1,945만 원이 필요하며 3.5 가솔린 터보 엔진은 1,915만 원이나 필요한데요.
따라서 깡통 가격에서 약 2천만 원이나 추가해야 풀옵션 차량을 구매할 수 있다는 뜻인데요.
개인적으로는 필요하지도 않은 옵션을 풀옵션 차량을 구매하기 위해 억지로 구매하는 것은 그다지 추천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풀옵션 가격이 최신 연식의 제네시스 G90 중고 가격과 비슷하기 때문인데요.
따라서 만약 G80을 신차로 구매할 계획이라면 무리해서 풀옵션을 가는 것보다는 꼭 필요한 옵션만 추가하여 최대한 가격을 줄이는 것이 합리적인 선택이라 생각하는데요.
그렇다면 다양한 G80 옵션들 중 어떤 옵션을 추가하는 것이 좋을까요?
물론 엔진과 구동 타입은 취향에 따라 갈리지만 저라면 가솔린 2.5 터보 엔진에서 AWD를 선택할 것 같습니다.
왜냐하면 기본 엔진인 가솔린 2.5 터보 엔진의 성능이 그 자체로 이미 훌륭하기 때문에 660만 원으로 업그레이드할 필요성을 못 느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주행 안정성을 위해 2WD에서 280만 원을 추가하여 AWD로 변경하는 것은 그만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AWD로 변경하였습니다.
또한 휠과 타이어, 외장 및 내장 디자인은 전적으로 개인 취향이지만 저는 기본 옵션으로 그대로 갈 것 같습니다.
하지만 선택 옵션에서는 드라이빙 어시스턴스 패키지 1, 2를 모두 추가할 것인데요.
드라이빙 어시스턴스 패키지 1은 195만 원으로 주차할 때 주변과 부딪히지 않고 편안하고 안전하게 주차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주차 편의 기능입니다.
주차 편의 기능은 운전을 한다면 굉장히 자주 사용할 수 있으며 있고 없고의 차이가 크게 느껴지기 때문에 해당 옵션은 꼭 추가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드라이빙 어시스턴스 패키지 2는 200만 원으로 고속도로 등 다양한 주행 환경에서 주변에 있는 차량과 부딪히지 않도록 도와주는 주행 안정성 기능입니다.
주행 안정성 기능은 내가 아무리 운전을 잘하더라도 다른 차량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교통사고의 위험을 줄여줄 수 있기 때문에 운전자 보험 필요성이 높은 것처럼 자동차 보험을 일시불로 결제한다고 생각하면 될 것 같습니다.
이처럼 저는 AWD 280만 원, 드라이빙 어시스턴스 패키지 1 195만 원, 드라이빙 어시스턴스 패키지 2 200만 원을 추가하여 총 675만 원의 옵션을 추가할 것 같습니다.
물론 이는 저의 주관적인 생각이기 때문에 여러분들은 여러분에게 맞는 옵션을 추가하는 것이 중요한데요.
해당 링크를 통해 G80에서 선택할 수 있는 다양한 옵션들 중 맘에 드는 옵션을 추가한 나만의 G80 견적을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3. 제네시스 G80 연비
연비(km/L) | 2WD | AWD |
---|---|---|
2.5 가솔린 터보 | 18인치: 10.5 19인치: 10.1 20인치: 9.9 | 18인치: 9.8 19인치: 9.5 20인치: 9.4 |
3.5 가솔린 터보 | 19인치: 9.0 20인치: 8.8 | 19인치: 8.3 20인치: 8.2 |
G80 연비는 8.2 ~ 10.5km/L로 엔진과 구동 타입 및 타이어 인치에 따라 달라집니다.
2.5 가솔린 터보 엔진을 장착한 G80의 2WD 연비는 18인치는 10.5km/L, 19인치는 10.1km/L, 20인치는 9.9km/L입니다.
2.5 가솔린 터보 엔진을 장착한 G80의 AWD 연비는 18인치는 9.8km/L, 19인치는 9.5km/L, 20인치는 9.4km/L입니다.
3.5 가솔린 터보 엔진을 장착한 G80의 2WD 연비는 19인치는 9km/L, 20인치는 8.8km/L입니다.
3.5 가솔린 터보 엔진을 장착한 G80의 AWD 연비는 19인치는 8.3km/L, 20인치는 8.2km/L입니다.
물론 위의 수치만 놓고 보더라도 G80의 연비는 높은 편은 아니며 오히려 조금 낮은 편이라는 것을 알 수 있는데요.
하지만 이는 다른 준대형 세단 연비와 비교하여도 낮은 연비인지 아니면 평범한 수준인지는 알기 힘든데요.
따라서 G80의 연비를 다른 국산 준대형 세단 차량인 현대 그랜저와 기아 K8의 연비를 함께 비교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현대 그랜저 2.5
- 2WD: 18인치: 11.7km/L, 19인치: 11.4km/L, 20인치: 11.2km/L
- 현대 그랜저 3.5
- 2WD: 18인치: 10.4km/L, 19인치: 10.1km/L, 20인치: 9.7km/L
- AWD: 18인치: 9.5km/L, 19인치 9.2km/L, 20인치: 9km/L
- 기아 K8 2.5
- 2WD: 18인치: 11.6km/L, 19인치: 11.3km/L, 20인치: 11.3km/L
- 기아 K8 3.5
- 2WD: 18인치: 10.1km/L, 19인치: 9.9km/L, 20인치: 9.9km/L
- AWD: 18인치: 9.1km/L, 19인치: 9km/L, 20인치: 9km/L
준대형 세단 연비를 비교할 때 현대 그랜저의 연비가 가장 높았으며 그다음은 K8이며 제네시스 G80의 연비가 가장 낮았습니다.
따라서 만약 준대형 세단을 구매할 때 연비를 중요시 여긴다면 현대 그랜저나 기아 K8을 추천하며 제네시스 G80은 추천하지는 않습니다.
역시 제네시스 G80은 연비를 보고 구매하는 차량은 아니라는 것을 다시 한번 더 알게 되었습니다.
만약 연비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분들 중 그랜저 가격이나 K8 가격이 궁금하신 분들은 해당 링크를 통해 연비가 뛰어난 준대형 세단의 가격을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4. 제네시스 G80 제원
G80 제원을 살펴보면 전장은 5,005mm, 전폭은 1,925mm, 전고는 1,465mm입니다.
하지만 준대형 세단인 g80의 제원을 수치만 놓고 봤을 때 g80 크기가 어느 정도인지 가늠하기 힘든데요.
따라서 다른 준대형 세단인 그랜저와 k8의 제원을 함께 비교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제원(mm) | 전장 | 전폭 | 전고 |
---|---|---|---|
G80 | 5,005 | 1,925 | 1,465 |
그랜저 | 5,035 | 1,880 | 1,460 |
K8 | 5,050 | 1,880 | 1,455 ~ 1,480 |
전장의 경우 K8이 가장 길었으며 그랜저가 그 다음이고 G80의 전장이 가장 짧았습니다.
전폭의 경우 G80이 가장 넓었으며 그랜저와 K8의 전폭은 다소 좁았습니다.
전고의 경우 20인치 타이어를 장착한 K8이 가장 높았으며 그다음으로 G80, 그랜저, K8(17~19인치) 순으로 낮았습니다.
즉, G80은 다른 준대형 세단에 비해 전장은 가장 짧았지만 전폭은 가장 넓었으며 전고는 높은 편에 속했습니다.
따라서 G80은 실내 공간이 앞뒤로는 다소 좁거나 트렁크의 내부 공간이 좁을 수 있지만 좌우 폭이나 전고가 높아 상대적으로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실제로 제가 G80을 타본 경험이나 다른 G80 시승기를 참고하더라도 저에게는 앞뒤 간격은 조금 좁을 수 있지만 전혀 불편한 정도는 아니었으며 트렁크 공간은 준대형 세단 치고는 조금 부족한 것은 사실이었습니다.
하지만 좌우 폭이 넓고 천장 높이가 높아 운전할 때 차량 내부가 좁다는 느낌보다는 오히려 쾌적하다는 느낌을 받았는데요.
4인 가족의 경우 뒷좌석은 조금 좁을 수 있지만 앞좌석 기준 굉장히 쾌적하게 이동할 수 있으므로 탑승 인원에 따라 선택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물론 좌우 폭이 다른 준대형 차량에 비해 많이 넓은 편이기 때문에 백화점 등 좁은 주차장을 이용하거나 코너링을 할 때 범퍼를 긁을 수 있다는 단점이 있으니 이 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